동영상 강의
http://www.wolfram.com/broadcast/screencasts/handsonstart/
매뉴얼
http://reference.wolfram.com/mathematica/guide/Mathematica.html
전체 페이지뷰
2013년 1월 3일 목요일
2013년 1월 1일 화요일
전자의 입자성과 파동성
토노무라가 개발한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중슬릿을 통과하는 전자가 개별적으로는 임의의 방향에서 검출되지만(입자성) 쌓이다보면 간섭무늬가
드러나는(파동성) 실험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_oWRI-LwyC4&feature=player_detailpage
http://www.youtube.com/watch?v=_oWRI-LwyC4&feature=player_detailpage
2012년 7월 19일 목요일
포일로 싸는 전파
이름만 보면 도저히 삼겹살집이라고 생각하기 힘든 ‘여우골’이라는 가계가 있다. 꼭 룸싸롱 같은 이름의 이 식당에서 마치 룸싸롱에 온 것 처럼 술에 취한 손님과 종업원이 큰 소리를 낸 것은 우리가 막 자리를 잡고 앉으려던 때였다. 종업원이 오더니 주문을 받길래 왜 이리 소란스러운지를 물었다. 자초지종은 이렇다. 저 술취한 손님이 술을 더 시키기 위해 테이블에 있는 벨을 여러 번 눌렀는데 아무도 주문을 받지 않자 자신을 무시하는 줄 알고 화가 나 지나가는 종업원에게 화풀이를 한 모양이다. 큰소리는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었다. 종업원이 벨에 배터리가 다 되었다며 죄송하다고 머리를 조아리고는 있는데 ‘룸싸롱 손님’은 ‘저기에 배터리가 왜 들어가냐’며 성에 차지 않는 듯 아직도 큰소리다. 급기야 주인이 나와서 드라이버로 테이블 벨을 뜯어내 안에 있는 배터리를 보여주자 그때서야 ‘제때 배터리를 갈았어야지...’라며 화를 누그러뜨린다.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법칙을 하나 고르라 하면 너나없이 ‘에너지 보존법칙’을 뽑는다. ‘룸싸롱 손님’은 이 에너지 보존법칙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벨을 누르면 뭔가 나가야 하고 뭔가 나가기 위해서는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는 간단한 사실을 알지 못한 것이다. 나중에는 미안했는지 주인에게 술 한잔 따르며 자신은 여태껏 벨이 전선과 연결되어 있어 초인종처럼 전선을 타고 신호가 가는 줄 알았다고 한다. 그래서 배터리 얘기가 나오자 그렇게 화를 낸 것이었다. 그러면서 도리어 주인에게 묻는다.
‘버튼을 누르면 이게 어떻게 전달됩니까? 이게 무선인가?’
사실 나도 매번 누르기만 했지 정확한 원리는 모르고 있었다. 거리가 멀어도 전달되고 칸막이가 높게 쳐진 방안에서도 전달되는 것으로 봐서 전파를 이용하는 것 같다는 추측만 들 뿐이다. 이참에 테이블 벨 제조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정보를 얻기로 했다. 테이블 벨은 역시 전파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예전에 무선호출기(삐삐)가 사용했던 280MHz 안팎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도달거리는 20-30m정도라고 하니 꽤 멀리 간다. 만약 옆집에서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옆집 테이블에서 누른 신호가 벽을 넘어 전달될지도 모를 일이다. 물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고 고유 신호를 주면 혼선을 쉽게 막을 수 있을 것 같긴 하다. 또 테이블 마다 번호를 달리하여 전달해야 하므로 전파에 정보를 싣는 변조과정이 필요한데 테이블 벨은 FM방식-라디오의 FM방송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식당에서 무선 신호를 보내는 것이 하나 더 있다. 나도 사실 최근에 이 사실을 알았다. 아주 화창한 봄날 정원이 딸린 식당에 갔었는데 ‘自動, PUSH’라고 쓰여진 버튼을 누르면 열리는 자동문 앞에서 오랫동안 앉아 있던 적이 있었다. 사람들이 그 버튼을 누르면서 들락날락 거리는 모습이 봄 날씨만큼이나 정겨웠다. 그러다가 문득 그 버튼을 바라보는데 버튼 주위로 전선이 보이지 않는 것이었다. 그저 투명한 유리문에 단지 달라붙어있는 상태로 보였는데 그걸 누르면 문이 스르륵 잘도 열렸다. 여태껏 나는 버튼이 전선과 연결되어 있어 누르면 신호가 전달되는 줄 알고 있었다. 설마 이렇게 간단한 것에도 전파라는 것이 사용되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테이블 벨과 마찬가지로 이것도 그 버튼 안에 건전지가 들어있고 전파를 낼 수 있는 송신기가 들어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신기가 문의 어디쯤 달려있어서 모터로 가는 전원을 가동시켜 문을 여는 것이다.
문득 알루미늄 포일이 생각났다. 도체로 둘러싸면 그 안으로 전파가 들어오거나 나가지 못하는 전자기 차폐현상을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알루미늄 포일. 만약 자동문의 스위치를 포일로 감싼다면 버튼을 아무리 눌러도 전파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문이 열리지 않을 것이다. 생각만 해도 웃음이 번진다.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번잡하지 않은 곳으로 장소를 정하고, 포일로 잘 감싸고 멀리서 지켜보면서 이런 상황을 사진으로 남기기로 했다. 그날 이후 가방에 포일을 잘 싸서 넣고 다녔다.
몇 주 후 대전역에서 드디어 자동문을 발견했다. KTX로 환승하는 사람들을 위해 플랫폼에 대기실을 만들어 놓았는데 그곳에 자동문이 있었다. 인적도 드물고 그나마 있는 사람들도 TV에 집중하고 있었다. 최상의 조건이었다. 눈치를 보며 자동문 버튼을 포일로 감싸고 멀찌감치 앉아서 사람을 기다렸다. 환승시간이 15분간 이므로 이 시간 안에 모든 실험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몇 분 지나니 한 꼬마가 문으로 다가왔다. 그러더니 버튼을 누르지도 않고 바로 포일을 벗겨 찢어버리고는 버튼을 누르고 문이 열리자 유유히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이런 괴씸한 녀석같으니라고. ‘유비무환’. 이런 사태에 대비하여 포일을 한 장 더 가져왔다. 다시 자동문을 감싸고 기다리니 이번엔 양복을 입은 아저씨가 다가오더니 버튼을 눌렀다. 그런데 열리지 말아야 할 문이 스르륵 열리는 것이 아닌가? 아! 사진은 커녕 실험도 실패했다. 다시 해보기에는 남은 시간이 없었다. 환승시간이 다 되어가고 있었다.
다시 실험을 하기로 맘먹은 것은 식당에서 테이블 벨을 발견하고 나서다. 정확히 말하면 ‘룸싸롱 손님’이 버튼을 눌러도 종업원이 안온다고 떼를 쓴 바로 그때다. 사실 생각은 났지만 포일이 없었다. 종업원에게 달라고 하기에는 식당 분위기가 ‘룸싸롱 손님’덕에 극도로 냉각된 상태였다. 결국 주말에 실험을 하기 위해 아내와 외식을 하기로 결정했다. 미리 동네 상점을 물색해 테이블 벨이 설치된 가계를 정해두었다. 이건 아내의 몫이었다. 당첨된 상점은 가까이 있는 보쌈집이었다. 아내는 보쌈집이 반찬도 많고 싸먹는 채소도 다양하기 때문에 먹다 모자를 때 버튼을 여러 번 누를 수 있어서 실험하기 용이하며, 칸막이가 쳐져 있기 때문에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된다고 적극 추천했다. 본인이 보쌈을 먹고 싶어서 선택한 건지 진정으로 남편의 실험을 위해서 선택한 건지 살짝 의심이 가긴 하나 들어보니 꽤 이유 있는 선택인것 같았다. 깔끔한 인테리어의 보쌈집은 개업한지 얼마 되지 않는 듯 모든 것이 새것이었다. 당연히 테이블 벨도 반짝 반짝 빛이 났다. 일단 주문을 하기 위해 벨을 눌렀다. ‘띵동’ 소리와 함께 저 멀리 전광판에 22번이라고 뜬다. ‘음 22번이 우리 테이블이군’ 잽싸게 젊은 종업원이 와서 메뉴판을 주고 간다. 아무래도 알바인 것 같다.
주문을 하고 곧바로 작업에 들어갔다. 주머니에서 꼬깃꼬깃 구겨진 포일을 빼내 테이블 벨에 씌웠다. 순간 종업원이 들이닥쳤다. 우리는 갑자기 들이닥친 ‘알바 녀석’에게 실험의 전말을 들키고 말았다는 생각에 바짝 긴장했다. 녀석은 고기와 채소, 앞 접시를 놓다가 우리의 석연치 않은 행동을 보고는 알듯 모를듯한 미소를 짓고 돌아갔다. 우리 둘은 서로 마주보며 녀석의 미소에 대해 고민했다. 무슨 의미인가?
일단 일차 실험에 들어간다.
‘만약 전파가 나와서 벨이 울리면 뭘 시키지?’
‘사이다 한 병 시키지 뭐’
긴장 속에 살짝 버튼을 누르자 불행히도 ‘띵동’하면서 벨이 울리고 22번 숫자가 큼지막하게 보인다. 냉큼 달려오는 ‘알바 녀석’에게 떨떠름하게 사이다를 시켰다.
‘왜 벨이 울리지?’
‘뭐가 문제일까?’
전파가 빠져나갈 구멍이 있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포일을 좀 더 펴서 주변까지 가리고 테이블의 아래쪽에도 감쌌다. 자 이제 2차 실험에 들어가려고 하는데, 아내가 먹고 하자고 조른다. 역시 이 집을 선택한 건 실험보단 보쌈이 먹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푸짐한 각종 채소에 고기를 싸서 한입 한입 먹다보니 어느덧 상추가 떨어졌다. 이때다. 다시 포일로 벨을 감싼 다음에 조심스럽게 버튼을 눌렀다. 여전히 ‘띵동’하며 전광판에는 22번이 뜬다.
날쌘 ‘알바 녀석’이 상추를 채워주고 갔다. 녀석의 뒷모습을 보며 왜 전파가 차단되지 않는지 고민했다. 알루미늄 포일 같은 도체로 둘러쌀 경우 도체 안의 전기장이 ‘0’이 되는 것을 전자기 차폐라고 한다. 전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인데 그중 전기장을 차단하는 것으로, 전기장이 차단되면 자기장도 만들어지지 않아 결국 전파는 통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파의 종류에 따라 차폐의 정도가 결정되는데 파장이 긴 라디오파는 모기장 정도의 철망이면 차폐가 된다고 한다. 테이블 벨이 사용하는 280MHz 안팎의 전파는 라디오 보다 파장이 짧으니 더 빈틈없이 감싸야 한다는 말인데 벨이 부착된 테이블의 구조상 테이블을 통째로 감싸지 않는 한 빈틈이 없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테이블을 모조리 포일로 빈틈없이 감싸는 모양을 상상해 보라. 아무리 싸서 먹는 보쌈집이지만 과연 손님이 할 짓인가? 방법은 간단하다. 부착된 벨을 떼서 벨만 감싸면 된다. 하지만 이게 쉽게 떨어질 것 같지 않다. 만약 떼다가 부서지기라도 한다면 낭패다. 부착된 면을 보니 양면 테잎으로 붙인것 같다. 그렇다면 조금 힘을 준다면 떨어질 것 같기도 하다. 둘이 앉아 밥은 안먹고 테이블 벨을 이리저리 살펴보고 있으니 이 모습을 보다 못한 옆 테이블의 한 남자가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고장 났으면 저희 테이블꺼 누르세요’
친절한 그 남자는 손수 벨 까지 눌러주었다. 반갑지 않은 ‘띵동’ 소리와 함께 ‘알바 녀석’이 왔다. 다시 사이다를 시켰다. 일단 사이다를 한 컵 들이키고 벨을 보니 붙인지 얼마 되지 않아 들뜬 곳이 보인다. 살짝 밀어보니 ‘쩌억’ 하면서 벨이 떨어졌다. 의외로 쉽게 떨어진다. 재빨리 포일로 빈틈없이 감쌌다. 그리고 벨이 울리면 주문할 동치미 국물을 원샷하고 벨을 눌렀다.
‘아!’ 전광판에 숫자가 뜨지 않는다. 성공이다. 여러 번 연달아 눌러도, 아무리 눌러도 저기 ‘알바 녀석’은 다른 곳을 향하고 있다.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다. 직접 해보니 ‘룸싸롱 손님’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도 같다.
포일을 벗겨내고 제자리에 잘 붙였다. 전보다 훨씬 더 잘 붙게 하려고 부착부분에 먼지도 닦고 전보다 더 견고하게 붙여놓았다. 벨을 살짝 눌러 동치미 국물을 시켰다. 그리고 ‘알바 녀석’에게 살며시 미소를 보내주었다. 써비스로 나오는 누룽지 까지 먹고 나서 포만감에 보쌈집을 나섰다.
늦가을 하늘에 별이 총총하다. 저 별빛도 방금까지 우리가 애써 실험한 전파의 일종이다. 빛이 전파라는 것을 이론적으로 처음 밝힌 영국의 물리학자 맥스웰이 학회에 그 사실을 발표하기 전에 그의 연인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저기 저 별빛이 전파의 한 종류라는 것을 아는, 세상에 단 한사람과 같이 있는 기분이 어때?’
돌아오는 길에 아내에게 이 얘기를 하니 대답 대신 ‘꺼억’하면 거하게 트림으로 답해준다.
그녀에겐 실험의 성공보단 보쌈을 먹은 보람이 더 크리라.
자료출처 : 엘리트 글쓰기 논술 교실
2012년 1월 10일 화요일
2011년 12월 18일 일요일
2011년 12월 16일 금요일
음성처리도구
http://speechsquare.com/tools.htm
음성 분석 프로그램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 무진장 많아요.
각자 자기가 편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서 사용하고 있고요.
그 프로그램들을 돈 받고 팝니다.
그래서 학교나 연구소 같이 돈 많은 곳은 비싼 프로그램들을 사서 쓰는데요.
일반 학생들은 공짜 프로그램 써야지요 헬헬.
보통 CSL이나 PC-Quirer, Wavesurfer, pratt 등이 음성 분석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그 중에서 Waversurfer 하고 pratt가 공짜구요.
둘 다 쓸만합니다.
wavesurfer는 일반적인 파형 분석, 스펙트로그램 분석, 피치 분석 등등 할 때 좋구요.
pratt는 피치 변화시키기, 길이 변화시키기 등등 응용 기능이 많이 있어서 좋습니다.
물론 wavesurfer가 사용하기도 좀 더 편합니다.
PC-Quirer는 몇 가지 기능을 빼고 데모 버전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이야기가 길어져서.. 생략할께요
다운 받으실 수 있는 링크 달아드리겠습니다.
수고하세요.
<추천>------------------------------------------------
Wavesurfer Down page
http://www.speech.kth.se/wavesurfer/download.html
------------------------------------------------------
<고급>------------------------------------------------
Pratt Down page
http://www.fon.hum.uva.nl/praat/
------------------------------------------------------
Pratt 설명서(양병곤선생님 지음)
http://www.dongeui.ac.kr/~bgyang/praat/praatdown.htm
------------------------------------------------------
<기타 맛보기>-----------------------------------------
PC-Quirer DEMO Download
http://www.sciconrd.com/
데모만 되구요. 완전히 쓰려면 프린터 포트에 락키를 꽂아야하는데 그게 비싸요.
데모만으로도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음성 파일 저장이 안되고 녹음이 짧게 돼서 그렇지
이 프로그램이 사용하기는 젤 쉬워요.
------------------------------------------------------
<자료출처 : 네이트 지식인>
음성 분석 프로그램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 무진장 많아요.
각자 자기가 편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서 사용하고 있고요.
그 프로그램들을 돈 받고 팝니다.
그래서 학교나 연구소 같이 돈 많은 곳은 비싼 프로그램들을 사서 쓰는데요.
일반 학생들은 공짜 프로그램 써야지요 헬헬.
보통 CSL이나 PC-Quirer, Wavesurfer, pratt 등이 음성 분석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그 중에서 Waversurfer 하고 pratt가 공짜구요.
둘 다 쓸만합니다.
wavesurfer는 일반적인 파형 분석, 스펙트로그램 분석, 피치 분석 등등 할 때 좋구요.
pratt는 피치 변화시키기, 길이 변화시키기 등등 응용 기능이 많이 있어서 좋습니다.
물론 wavesurfer가 사용하기도 좀 더 편합니다.
PC-Quirer는 몇 가지 기능을 빼고 데모 버전을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이야기가 길어져서.. 생략할께요
다운 받으실 수 있는 링크 달아드리겠습니다.
수고하세요.
<추천>------------------------------------------------
Wavesurfer Down page
http://www.speech.kth.se/wavesurfer/download.html
------------------------------------------------------
<고급>------------------------------------------------
Pratt Down page
http://www.fon.hum.uva.nl/praat/
------------------------------------------------------
Pratt 설명서(양병곤선생님 지음)
http://www.dongeui.ac.kr/~bgyang/praat/praatdown.htm
------------------------------------------------------
<기타 맛보기>-----------------------------------------
PC-Quirer DEMO Download
http://www.sciconrd.com/
데모만 되구요. 완전히 쓰려면 프린터 포트에 락키를 꽂아야하는데 그게 비싸요.
데모만으로도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음성 파일 저장이 안되고 녹음이 짧게 돼서 그렇지
이 프로그램이 사용하기는 젤 쉬워요.
------------------------------------------------------
<자료출처 : 네이트 지식인>
음성인식에 관한 자료 목록입니다.
1 음성-영상 정보의 통합처리에 의한 숫자음 인식 = (A) Study on Numeral Speech Recognition by Integration of Audio and Video Signals/ 이천우,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0]
2 변환망과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화자적응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adaptive speech recognition using transformation network and multilayer perceptron/ 이기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5]
3 실시간 임베디드 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현 = An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Embedded Speech Recognition System/ 南相曄, 檀國大學校 [2002]
4 입술정보를 이용한 바이모달 음성인식 = Bimodal Speech Recognition using Lip Information/ 박병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5 G.723 기반의 음성인식을 위한 변별적인 음성 특징 벡터 선정 = Discriminative Feature Selection for G.723-based Speech Recognition/ 이규환,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6 PACS 판독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구현 = (A) Development of Speech Recognition Interface System for PACS Reading/ 정태웅,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7 音聲認識電子カルテにおける誤認識醫學用語の修正處理システムの開發 : Development of mis-recognized medical terms correction system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using speech recognition/ 서화정, 鈴鹿醫療科學大學大學院 [2002]
8 화자적응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iza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Speaker Adaptation/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9 동적인 다중기준음성에 기반한 음성인식시스템 = Speech recognition based on dynamic multi-references/ 정은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0 잡음 환경에 강인한 이중모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bust bimodal speech-recognition system in noisy environments/ 이철우,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2 변환망과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화자적응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adaptive speech recognition using transformation network and multilayer perceptron/ 이기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5]
3 실시간 임베디드 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현 = An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Embedded Speech Recognition System/ 南相曄, 檀國大學校 [2002]
4 입술정보를 이용한 바이모달 음성인식 = Bimodal Speech Recognition using Lip Information/ 박병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5 G.723 기반의 음성인식을 위한 변별적인 음성 특징 벡터 선정 = Discriminative Feature Selection for G.723-based Speech Recognition/ 이규환,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6 PACS 판독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구현 = (A) Development of Speech Recognition Interface System for PACS Reading/ 정태웅,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7 音聲認識電子カルテにおける誤認識醫學用語の修正處理システムの開發 : Development of mis-recognized medical terms correction system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using speech recognition/ 서화정, 鈴鹿醫療科學大學大學院 [2002]
8 화자적응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iza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Speaker Adaptation/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9 동적인 다중기준음성에 기반한 음성인식시스템 = Speech recognition based on dynamic multi-references/ 정은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0 잡음 환경에 강인한 이중모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bust bimodal speech-recognition system in noisy environments/ 이철우,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11 특정 대화 영역 지식을 이용한 한국어 대화체 연속 음성 인식 = Korean Spontaneous Speech Recognition Using Domain Specific Language Model/ 박용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12 SVM-HMM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by using SVM-HMM/ 권호민,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3]
13 개선된 전처리 과정과 특징 추출과정을 통한 음성의 인식 = Speech Recognition Using Improved Preprocessing and Feature Extraction/ 조준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14 DSP 음성인식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로봇 구현 = Implement of automobile robot using the ultrasonic sensors and the DSP speech recognition/ 임창환,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15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음소별 벡터 양자화기의 설계/ 이용희, 漢陽大學校 [1992]
16 적응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잡음음성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Adaptive of Noise-corrupted speech using Adaptive Filtering Method/ 이종연,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17 한국어 연속음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의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Voice Recognition System for the Korean Continuous Word/ 김성낙,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18 의료 영역에서 대용량 연속 음성 인식의 성능 향상 = Improvement of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in Medical Domain/ 박영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19 청각 이미지 모델 기반의 잡음에 강인한 음성 특징 추출 = Noise-robust 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Based on Auditory Image Model/ 오도관, 한국과학기술원 [2003]
20 예측형 RBFN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predictiv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김주성,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21 유성/무성/묵음 분류기와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한 음소 경계 검출 : Phoneme segmentation using voiced/unvoiced/silence classifier and spectral information/ 이상래,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1999]
22 입모양 인식과 음성인식에 의한 향상된 화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by speech recognition and lip-reading/ 지승남,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23 자동차 소음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실시간 구현 = Performance Improvement and Real-Time Implement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System in the Car Noise Environment/ 우경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4 숫자음 인식기능을 갖는 화자인증 시스템 구현 = Speaker Recognition System with Digit Word Recognition/ 김범상,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9]
25 神經回路網을 利用한 數字音聲의 認識에 關한 硏究/ 장호성, 檀國大學校 [1991]
26 GAVQ를 이용한 음성인식 성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formances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GAVQ(Genetic Algorithm Vector Quantization)/ 李在坤, 강원대학교 [2000]
27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Korean language/ 이종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5]
28 TDNN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설계 = Desig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TDNN/ 남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29 고립단어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음성인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effective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isolated word recognition/ 김현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5]
30 음절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Syllable Based Neural Nerwork/ 琴智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2 SVM-HMM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by using SVM-HMM/ 권호민,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3]
13 개선된 전처리 과정과 특징 추출과정을 통한 음성의 인식 = Speech Recognition Using Improved Preprocessing and Feature Extraction/ 조준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14 DSP 음성인식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로봇 구현 = Implement of automobile robot using the ultrasonic sensors and the DSP speech recognition/ 임창환,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15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음소별 벡터 양자화기의 설계/ 이용희, 漢陽大學校 [1992]
16 적응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잡음음성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Adaptive of Noise-corrupted speech using Adaptive Filtering Method/ 이종연,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17 한국어 연속음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의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Voice Recognition System for the Korean Continuous Word/ 김성낙,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18 의료 영역에서 대용량 연속 음성 인식의 성능 향상 = Improvement of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in Medical Domain/ 박영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19 청각 이미지 모델 기반의 잡음에 강인한 음성 특징 추출 = Noise-robust 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Based on Auditory Image Model/ 오도관, 한국과학기술원 [2003]
20 예측형 RBFN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predictiv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김주성,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21 유성/무성/묵음 분류기와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한 음소 경계 검출 : Phoneme segmentation using voiced/unvoiced/silence classifier and spectral information/ 이상래,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1999]
22 입모양 인식과 음성인식에 의한 향상된 화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by speech recognition and lip-reading/ 지승남,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23 자동차 소음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실시간 구현 = Performance Improvement and Real-Time Implement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System in the Car Noise Environment/ 우경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4 숫자음 인식기능을 갖는 화자인증 시스템 구현 = Speaker Recognition System with Digit Word Recognition/ 김범상,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9]
25 神經回路網을 利用한 數字音聲의 認識에 關한 硏究/ 장호성, 檀國大學校 [1991]
26 GAVQ를 이용한 음성인식 성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formances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GAVQ(Genetic Algorithm Vector Quantization)/ 李在坤, 강원대학교 [2000]
27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Korean language/ 이종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5]
28 TDNN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설계 = Desig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TDNN/ 남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29 고립단어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음성인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effective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isolated word recognition/ 김현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5]
30 음절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Syllable Based Neural Nerwork/ 琴智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31 Robust speech recognition based on partial information technique : 부분 정보 기법에 기반한 강인한 음성인식/ 조훈영,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
32 A study on a multimodal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by the multiresolution architecture and the merging algorithm/ 김진옥,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33 음성인식기를 활용한 초등영어 CD-ROM title 개발 = Developing CD-ROM title us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Virtual LAB를 활용한 초등영어 교재개발/ 김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4 Real-Time Speech Enhancement by Simplified Kalman Filtering = 간략화된 칼만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개선/ 정상배, 한국정보통신대학교 [2002]
35 DMS모델을 이용한 단독어 인식에 관한 연구/ 변용규, [1990]
36 WWW상에서의 음성 처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the processing on WWW/ 박재형,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37 한국의 음성기술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Overview and activating plan for voice recognition business in Korea/ 유인호,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38 다단계 구조에 의한 HMM 성능향상 및 음성인식을 위한 웨이블릿 필터 평가 =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a multi-stage method and wavelet filter eval!uation of speech recognition/ 김기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9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에 있어 운율 정보의 계산적 모델 = Computational Model of Prosody Information in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강평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40 IDMLP 神經 回路網을 利用한 韓國語 單音節 音聲認識에 관한 硏究/ 박정운, 慶北大學校 [1992]
32 A study on a multimodal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by the multiresolution architecture and the merging algorithm/ 김진옥,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33 음성인식기를 활용한 초등영어 CD-ROM title 개발 = Developing CD-ROM title us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Virtual LAB를 활용한 초등영어 교재개발/ 김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4 Real-Time Speech Enhancement by Simplified Kalman Filtering = 간략화된 칼만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개선/ 정상배, 한국정보통신대학교 [2002]
35 DMS모델을 이용한 단독어 인식에 관한 연구/ 변용규, [1990]
36 WWW상에서의 음성 처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the processing on WWW/ 박재형,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37 한국의 음성기술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 Overview and activating plan for voice recognition business in Korea/ 유인호,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38 다단계 구조에 의한 HMM 성능향상 및 음성인식을 위한 웨이블릿 필터 평가 =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a multi-stage method and wavelet filter eval!uation of speech recognition/ 김기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9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에 있어 운율 정보의 계산적 모델 = Computational Model of Prosody Information in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강평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40 IDMLP 神經 回路網을 利用한 韓國語 單音節 音聲認識에 관한 硏究/ 박정운, 慶北大學校 [1992]
41 무제한 어휘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효율적 음절 모델링 = An Efficient Syllable Modeling for Vocabulary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金峰完, 원광대학교 [2001]
42 음성/영상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끝점 검출 방식에 기반을 둔 음성인식 시스템 =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 new endpoint detection method of jointly using audio/video information/ 이동근,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43 히스토그램 기반의 스펙트럼 차감법 및 잡음 마스킹을 이용한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 =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histogram-based spectral subtraction and noise masking/ 권영욱,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44 One stage MSVQ/DP를 利用한 連續音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by One Stage MSVQ/DP/ 정의붕,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1]
45 단순 특징 값과 촬영 각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오디오 비주얼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udio-Visual Korean Vowel Recognition based on Simple Lip Features for Different Camera Angles/ 서재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6 모바일 환경에서 인증과 음성인식을 위한 웹 서비스 구현 = (An) Implementation of the Web Service for Authentication and Speech Recognition in the Mobile Environments/ 고유정, 한밭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4]
47 A Study on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and Short-Term Cepstral Mean Normalization = 한국어 연속 숫자 음성 인식과 단구간 켑스트럼 평균 정규화에 관한 연구/ 김상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v [2002]
48 音聲信號의 遷移區間 特徵抽出 알고리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Algorithm for Feature Extraction in the Transient Periods of Speech Signals/ 崔一泓, 명지대학교 [1997]
49 PDA 상에서 음성제어를 위한 가변어휘 인식기 설계 = Design of the Text Indepentent Vocabulary Recognizer for Voice Control on PDA/ 郭相勳, 東新大學校 [2002]
50 강인한 정합과정을 이용한 텍스트 종속 화자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xt-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system using a robust matching process/ 이한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51 가변 어휘 음성 인식기 구현 및 탐색 시간 단축 알고리듬 비교 = Realization of variable word speech recognition and compare of search time reduction algorithm/ 서봉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52 신경망 예측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al Predictive HMM/ 김수훈,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53 HMM을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peaker adap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김창근,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54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특징 파라미터 추출회로의 설계 = (A) Design of feature Parameter Extraction Circuit for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진상현,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9]
55 패턴 매칭에 의한 한국어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정재필, 檀國大學校 [1989]
56 영역검출을 이용한 동적 언어모델 응용/ 박진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57 입술영상접기와 프레임간 필터링을 이용한 립리딩 성능개선 = Improvement of Lip-reading Performance Using Lip Image Folding and Inter-frame Filter/ 신도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58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Based on Missing Data Recognition : 손실 데이터 인식에 기초한 강인한 음성인식/ 안성준,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
59 음성 인식기를 위한 Teager 에너지 연산자와 위너 필터를 이용한 잡음 제거 방법 = (A) De-noising Method using Teager Energy Operator and Wiener Filter for Speech Recognizer/ 이종관, 한국과학기술원 [2003]
60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처리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duction of the Processing Time using HMM Algorithm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이순규, 崇實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42 음성/영상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끝점 검출 방식에 기반을 둔 음성인식 시스템 =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 new endpoint detection method of jointly using audio/video information/ 이동근,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43 히스토그램 기반의 스펙트럼 차감법 및 잡음 마스킹을 이용한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 =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histogram-based spectral subtraction and noise masking/ 권영욱,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44 One stage MSVQ/DP를 利用한 連續音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by One Stage MSVQ/DP/ 정의붕,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1]
45 단순 특징 값과 촬영 각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오디오 비주얼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udio-Visual Korean Vowel Recognition based on Simple Lip Features for Different Camera Angles/ 서재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6 모바일 환경에서 인증과 음성인식을 위한 웹 서비스 구현 = (An) Implementation of the Web Service for Authentication and Speech Recognition in the Mobile Environments/ 고유정, 한밭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4]
47 A Study on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and Short-Term Cepstral Mean Normalization = 한국어 연속 숫자 음성 인식과 단구간 켑스트럼 평균 정규화에 관한 연구/ 김상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v [2002]
48 音聲信號의 遷移區間 特徵抽出 알고리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Algorithm for Feature Extraction in the Transient Periods of Speech Signals/ 崔一泓, 명지대학교 [1997]
49 PDA 상에서 음성제어를 위한 가변어휘 인식기 설계 = Design of the Text Indepentent Vocabulary Recognizer for Voice Control on PDA/ 郭相勳, 東新大學校 [2002]
50 강인한 정합과정을 이용한 텍스트 종속 화자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xt-dependent speaker recognition system using a robust matching process/ 이한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51 가변 어휘 음성 인식기 구현 및 탐색 시간 단축 알고리듬 비교 = Realization of variable word speech recognition and compare of search time reduction algorithm/ 서봉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52 신경망 예측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al Predictive HMM/ 김수훈,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53 HMM을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peaker adaption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김창근,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54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특징 파라미터 추출회로의 설계 = (A) Design of feature Parameter Extraction Circuit for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진상현,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9]
55 패턴 매칭에 의한 한국어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정재필, 檀國大學校 [1989]
56 영역검출을 이용한 동적 언어모델 응용/ 박진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57 입술영상접기와 프레임간 필터링을 이용한 립리딩 성능개선 = Improvement of Lip-reading Performance Using Lip Image Folding and Inter-frame Filter/ 신도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58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Based on Missing Data Recognition : 손실 데이터 인식에 기초한 강인한 음성인식/ 안성준,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
59 음성 인식기를 위한 Teager 에너지 연산자와 위너 필터를 이용한 잡음 제거 방법 = (A) De-noising Method using Teager Energy Operator and Wiener Filter for Speech Recognizer/ 이종관, 한국과학기술원 [2003]
60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처리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duction of the Processing Time using HMM Algorithm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이순규, 崇實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61 (A) comparative study on soft computing techniques for speech recognition = 음성인식구현을 위한 소프트 컴퓨팅 기법의 성능비교/ 윤지원,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3]
62 VoiceXML을 이용한 모바일 음성인식 시스템구현 = A study on a mobil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VoiceXML/ 하얀돌이, 동신대학교 [2002]
63 Phonetics of segmental F0 and machine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장태엽, University of Edinburgh [2000]
64 에러패턴학습과 후처리 모듈을 이용한 연속 음성인식의 성능향상 = Improving Performance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Error Pattern Training and Post Processing Module/ 김용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65 擬似 N-gram 모델과 反復學習法에 依한 韓國語 大語彙 連續音聲認識의 言語處理. -2001A. 오세진/ 오세진,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66 神經 回路網을 利用한 韓國語 音聲 認識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Korean voice Recognition Using the Neural Network/ 금종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1]
67 한국어 모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Vowel/ 최승일, 숭전대학교 산업대학원 [1983]
68 잡음 둔감한 음성 인식을 위한 마스킹 모델 = (A) model of masking as a front-end for the robust speech recog/ 박기영, 한국과학기술원 [2002]
69 강인한 음성 인식을 위한 음향 채널 보상 알고리즘 = Acoustic channel compensa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정소영, 한국과학기술원 [2002]
70 Adaptive Comb Filtering을 적용한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강인한 음성 인식 =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Adaptive Comb Filt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박정식, 한국과학기술원 [2003]
62 VoiceXML을 이용한 모바일 음성인식 시스템구현 = A study on a mobil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VoiceXML/ 하얀돌이, 동신대학교 [2002]
63 Phonetics of segmental F0 and machine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장태엽, University of Edinburgh [2000]
64 에러패턴학습과 후처리 모듈을 이용한 연속 음성인식의 성능향상 = Improving Performance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Error Pattern Training and Post Processing Module/ 김용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65 擬似 N-gram 모델과 反復學習法에 依한 韓國語 大語彙 連續音聲認識의 言語處理. -2001A. 오세진/ 오세진,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66 神經 回路網을 利用한 韓國語 音聲 認識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Korean voice Recognition Using the Neural Network/ 금종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1]
67 한국어 모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Vowel/ 최승일, 숭전대학교 산업대학원 [1983]
68 잡음 둔감한 음성 인식을 위한 마스킹 모델 = (A) model of masking as a front-end for the robust speech recog/ 박기영, 한국과학기술원 [2002]
69 강인한 음성 인식을 위한 음향 채널 보상 알고리즘 = Acoustic channel compensa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정소영, 한국과학기술원 [2002]
70 Adaptive Comb Filtering을 적용한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강인한 음성 인식 =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Adaptive Comb Filt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박정식, 한국과학기술원 [2003]
71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개발 = Development of Intelligent Service Robot/ 함유경, 삼척대학교 [2002]
72 Dual-source back-off와 discounting의 연관성 = (The) relation of dual-source back-off and discounting/ 차영태,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2]
73 音聲認識을 利用한 移動로봇의 制御 = Control of mobile robot using speech recognition/ 정우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74 適應 프루닝 方法을 利用한 音聲認識 시스템의 高速化에 關한 硏究. -2001A. 황철준/ 황철준,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75 포만트 정보를 利用한 音聲認識시스템의 處理時間 短縮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Reduction of the Processing Time with Formant Information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송종회, 崇實大學校 産業技術情報大學院 [2000]
76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향상된 결정트리 기반 상태 공유 기법 연구 = Improved decision tree-based state tying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김동화,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77 LPC 셉스트럼 계수의 의한 한국어 음성인식 = Speech recognition of koreanword using LPC cepstrum coefficient/ 김종민, 漢陽大學校 [1993]
78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한 음성인식 = Speech recognition using micro-controller/ 신만호,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6]
79 韓國語 音聲 認識을 爲한 컴퓨터 알고리즘의 開發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Korean Speech Recognition with a Computer System Simulation/ 안창,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8]
80 한국어 음성인식 장치의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Korean Voice Recognition system/ 안기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0]
72 Dual-source back-off와 discounting의 연관성 = (The) relation of dual-source back-off and discounting/ 차영태,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2]
73 音聲認識을 利用한 移動로봇의 制御 = Control of mobile robot using speech recognition/ 정우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74 適應 프루닝 方法을 利用한 音聲認識 시스템의 高速化에 關한 硏究. -2001A. 황철준/ 황철준,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75 포만트 정보를 利用한 音聲認識시스템의 處理時間 短縮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Reduction of the Processing Time with Formant Information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송종회, 崇實大學校 産業技術情報大學院 [2000]
76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향상된 결정트리 기반 상태 공유 기법 연구 = Improved decision tree-based state tying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김동화,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77 LPC 셉스트럼 계수의 의한 한국어 음성인식 = Speech recognition of koreanword using LPC cepstrum coefficient/ 김종민, 漢陽大學校 [1993]
78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한 음성인식 = Speech recognition using micro-controller/ 신만호,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6]
79 韓國語 音聲 認識을 爲한 컴퓨터 알고리즘의 開發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Korean Speech Recognition with a Computer System Simulation/ 안창,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8]
80 한국어 음성인식 장치의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Korean Voice Recognition system/ 안기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0]
81 Frame 標準패턴을 利用한 音聲認識 시스템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using standardized FRAME patterns/ 최영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5]
82 Fuzzy와 MSVQ에 기초를 둔 MSHMM을 이용한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MSHMM based on fuzzy and MSVQ/ 안태옥, 광운대학교 [1991]
83 음성 인식 및 합성 엔진을 이용한 VoiceXML 네비게이터의 설계 및 구현 =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XML browser based on the web/ 이선남,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1]
84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빌딩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lligent Building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한은경, 대구대학교 [2002]
85 대용량 음성인식을 위한 고속 디코더 알고리듬 연구 = Fast decoder algorithm for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김용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86 회귀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한학용,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87 준 공진 DC 링크를 사용한 공간 벡터 PWM 인버터의 구현 = Realization of the Space Vector PWM Inverter Using a Quasi-Resonant DC Link/ 조성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88 HMM에 의한 실시간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real -tim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이영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5]
89 Fuzzy-Cepstrum을 이용한 음성인식 System = Speech 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Fuzzy-Cepstrum/ 조도호, 崇實大學校 情報科學大學院 [1993]
90 개선된 DMS/VQ를 이용한 한글화된 개인용 컴퓨터 명령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personal computer commands using improved DMS/VQ/ 이종욱, 광운대학교 전산대학원 [1993]
82 Fuzzy와 MSVQ에 기초를 둔 MSHMM을 이용한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MSHMM based on fuzzy and MSVQ/ 안태옥, 광운대학교 [1991]
83 음성 인식 및 합성 엔진을 이용한 VoiceXML 네비게이터의 설계 및 구현 =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XML browser based on the web/ 이선남,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1]
84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빌딩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lligent Building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한은경, 대구대학교 [2002]
85 대용량 음성인식을 위한 고속 디코더 알고리듬 연구 = Fast decoder algorithm for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김용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86 회귀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한학용,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87 준 공진 DC 링크를 사용한 공간 벡터 PWM 인버터의 구현 = Realization of the Space Vector PWM Inverter Using a Quasi-Resonant DC Link/ 조성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88 HMM에 의한 실시간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real -tim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이영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5]
89 Fuzzy-Cepstrum을 이용한 음성인식 System = Speech 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Fuzzy-Cepstrum/ 조도호, 崇實大學校 情報科學大學院 [1993]
90 개선된 DMS/VQ를 이용한 한글화된 개인용 컴퓨터 명령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personal computer commands using improved DMS/VQ/ 이종욱, 광운대학교 전산대학원 [1993]
91 多重準位 交叉率에 의한 우리말 숫자음 認識/ 김태곤, 全南大學校 [1991]
92 인식점수의 궤환을 통한 음성 및 화자인식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ization of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system based on feedback of recognition value/ 김현구, 한국과학기술원 [2004]
93 음소 문맥과 음운 변화 현상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 =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ological Context and Crossword Phonological Variations/ 김한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94 An Improvement of Stochastic Feature Extrac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통계적 특징벡터 추출방법 개선/ 고진석,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2003]
95 음성을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식 시스템 구현 및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emote User Recognition System using Speech Signal/ 오세영,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9]
96 HMM의 출력확률을 이용한 신경회로망의 인식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Neural Network Using Output Probability of HMM/ 표창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97 住所音聲認識 시스템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具現 = Design of a Multi-modal Interface for Address Retrieval! System/ 김지숙, 영남대학교 [2002]
98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s and Hidden Markov Models : Adaptations Using Non-Linear Transformations/ 육동석, Rutgers- the State Univ. of New Jersey- New Brunswick [1999]
99 초등영어교재 발음학습요소 조사.분석을 통한 음성인식 웹 발음교육자료 개발 방안/ 윤경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0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연구 및 구현 =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User-Identif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권도혁, 서울産業大學校 [2002]
92 인식점수의 궤환을 통한 음성 및 화자인식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ization of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system based on feedback of recognition value/ 김현구, 한국과학기술원 [2004]
93 음소 문맥과 음운 변화 현상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 =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ological Context and Crossword Phonological Variations/ 김한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94 An Improvement of Stochastic Feature Extrac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 잡음에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통계적 특징벡터 추출방법 개선/ 고진석,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2003]
95 음성을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식 시스템 구현 및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emote User Recognition System using Speech Signal/ 오세영,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9]
96 HMM의 출력확률을 이용한 신경회로망의 인식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Neural Network Using Output Probability of HMM/ 표창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97 住所音聲認識 시스템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具現 = Design of a Multi-modal Interface for Address Retrieval! System/ 김지숙, 영남대학교 [2002]
98 Robust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s and Hidden Markov Models : Adaptations Using Non-Linear Transformations/ 육동석, Rutgers- the State Univ. of New Jersey- New Brunswick [1999]
99 초등영어교재 발음학습요소 조사.분석을 통한 음성인식 웹 발음교육자료 개발 방안/ 윤경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0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연구 및 구현 =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User-Identific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권도혁, 서울産業大學校 [2002]
101 時間配列 벡터量子化를 利用한 숫자음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spoken digit recognition using the time serial vector qunatization/ 김연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1]
102 音聲認識을 위한 占有時間從屬 Hidden markov model = Duration-dependent hidden markov models for speech recognition/ 조정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103 필터뱅크를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Digit using Filter-Bank/ 김홍식,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04 한글母音 認識의 實時間處理에 關한 硏究/ 이택수, 檀國大學校 [1987]
105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음소 분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me segmentation method for the Korean langueage recognition/ 송석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6]
106 Hidden Markov Model을 기본으로 한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 = Performance improvement of hidden markov model-based speech recognition sysatem/ 임현,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4]
107 GMM을 이용한 화자인증기 구현 = (The) Implementation of Speaker Verification Tool using GMM(Gaussian Mixture Models)/ 남영균,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108 BMS 기반의 신뢰도 계산 및 거절 기능 성능 향상 = Enhancement of OOV Rejection using BMS(Background Model Set) based Confidence Measure/ 김병돈,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109 독립 성분 분석 기법과 최대치 해석에 기반한 내장형 잡음 하 음성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Study on Embedded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Independent Comoponent Analysis and Peak Analysis/ 김창민, 한국과학기술원 [2003]
110 雜音環境에서의 韓國語 音聲認識의 Endpoint-Detection = (A) Study on Endpoint-Detec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against Environmental Noise/ 이준희,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102 音聲認識을 위한 占有時間從屬 Hidden markov model = Duration-dependent hidden markov models for speech recognition/ 조정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0]
103 필터뱅크를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Digit using Filter-Bank/ 김홍식,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04 한글母音 認識의 實時間處理에 關한 硏究/ 이택수, 檀國大學校 [1987]
105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음소 분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me segmentation method for the Korean langueage recognition/ 송석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6]
106 Hidden Markov Model을 기본으로 한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 = Performance improvement of hidden markov model-based speech recognition sysatem/ 임현,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4]
107 GMM을 이용한 화자인증기 구현 = (The) Implementation of Speaker Verification Tool using GMM(Gaussian Mixture Models)/ 남영균,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108 BMS 기반의 신뢰도 계산 및 거절 기능 성능 향상 = Enhancement of OOV Rejection using BMS(Background Model Set) based Confidence Measure/ 김병돈,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109 독립 성분 분석 기법과 최대치 해석에 기반한 내장형 잡음 하 음성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Study on Embedded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Independent Comoponent Analysis and Peak Analysis/ 김창민, 한국과학기술원 [2003]
110 雜音環境에서의 韓國語 音聲認識의 Endpoint-Detection = (A) Study on Endpoint-Detection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against Environmental Noise/ 이준희,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111 TDNN과 HMM의 결합을 이용한 단어 단위의 한국어 음성인식 = (The) Korean word speech recognition using hybrid TDNN and HMM/ 서원택,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2]
112 모바일 환경에서 대용량 어휘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in Mobile Environments/ 崔大林, 全北大學校 [2002]
113 GVQ를 이용한 화자인식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aker Recognition Method using GVQ/ 朴經勳, 동아대학교 [2001]
114 확률모델링에 기초한 음성변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voice conversion system based on a probabilistic modeling/ 이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15 특정 잡음환경에서의 고립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solated word in specific noise environment/ 한화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1]
116 Studies on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for Non-native Learners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조철호, 京都大學 [1999]
117 音聲認識 機能을 가진 數値地圖情報 檢索시스템 設計. -2001A. 김낙철/ 김낙철,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118 Lipreading을 이용한 강인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lipreading/ 주상욱,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119 한국어 음소 인식을 위한 신경회로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ural networks for Korean phoneme recognition/ 최영배,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120 Auditory Model을 이용한 음성 인식 시스템의 Front-End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Front-End using Auditory Model/ 류근창,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12 모바일 환경에서 대용량 어휘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in Mobile Environments/ 崔大林, 全北大學校 [2002]
113 GVQ를 이용한 화자인식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aker Recognition Method using GVQ/ 朴經勳, 동아대학교 [2001]
114 확률모델링에 기초한 음성변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voice conversion system based on a probabilistic modeling/ 이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15 특정 잡음환경에서의 고립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solated word in specific noise environment/ 한화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1]
116 Studies on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for Non-native Learners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조철호, 京都大學 [1999]
117 音聲認識 機能을 가진 數値地圖情報 檢索시스템 設計. -2001A. 김낙철/ 김낙철,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118 Lipreading을 이용한 강인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bust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lipreading/ 주상욱,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119 한국어 음소 인식을 위한 신경회로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ural networks for Korean phoneme recognition/ 최영배,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120 Auditory Model을 이용한 음성 인식 시스템의 Front-End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Front-End using Auditory Model/ 류근창,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21 神經 回路網을 이용한 話者認識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peaker Verification using Neural Network/ 이주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122 話者認識과 音聲認識을 利用한 出入 統制 시스템 具現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peaker recognition and speech recognition/ 오예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5]
123 실시간 음성 특징 추출을 위한 필터 뱅크의 설계/ 조동완, 漢陽大學校 [1990]
124 LPC 셉스트럼 係數 및 필터뱅크 出力에 의한 韓國語 音聲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of Korean Word Using LPC Cepstrum Coefficients and Filter Banks/ 김계국,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25 웹 컨텐츠 접근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 연구 = (A) Study on Voice Interface for Access in Web Contents/ 김시정,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126 음성인식 등의 복합기능을 가진 지능형 장난감의 소프트웨어 개발 = Softwar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toy with various functions including speech recognition/ 박상훈,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0]
127 가변길이 음소 모델 및 자모 패턴을 이용한 대화체 연속음성인식에서의 Disfluency 검출/ 박병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128 계획 기반 대화 모델에서 음성인식 오류를 고려한 부대화 생성 전략/ 강상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129 音聲認識을 利用한 學內 電話 案內 시스템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chool telephone information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이원진,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130 An Improvement of Decision Tree-Based Unseen Model Prediction : 결정트리를 이용한 비관측모델 추정방법 개선/ 김성탁,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2003]
122 話者認識과 音聲認識을 利用한 出入 統制 시스템 具現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peaker recognition and speech recognition/ 오예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5]
123 실시간 음성 특징 추출을 위한 필터 뱅크의 설계/ 조동완, 漢陽大學校 [1990]
124 LPC 셉스트럼 係數 및 필터뱅크 出力에 의한 韓國語 音聲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Speech Recognition of Korean Word Using LPC Cepstrum Coefficients and Filter Banks/ 김계국,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25 웹 컨텐츠 접근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 연구 = (A) Study on Voice Interface for Access in Web Contents/ 김시정,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126 음성인식 등의 복합기능을 가진 지능형 장난감의 소프트웨어 개발 = Softwar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toy with various functions including speech recognition/ 박상훈,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0]
127 가변길이 음소 모델 및 자모 패턴을 이용한 대화체 연속음성인식에서의 Disfluency 검출/ 박병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128 계획 기반 대화 모델에서 음성인식 오류를 고려한 부대화 생성 전략/ 강상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129 音聲認識을 利用한 學內 電話 案內 시스템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chool telephone information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이원진,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130 An Improvement of Decision Tree-Based Unseen Model Prediction : 결정트리를 이용한 비관측모델 추정방법 개선/ 김성탁,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2003]
131 PVPF 방법과 퍼지 이론을 이용한 한국어, 영어 및 일본어 화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Speaker Recognitions using the Peak and Valley Pitch Detection Function and the Fuzzy Theory/ 김연숙,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132 음성신호의 잡음제거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lgorithm and Noise Removal of Speech Signals/ 車泰浩, 명지대학교 [1998]
133 음성처리 S/W를 활용한 영어교과의 말하기 평가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English Speaking Ability using Voice Processing S/W/ 金靜三, 淸州大學校 [2001]
134 改善된 VCCV單位 HMM을 利用한 話者獨立 可變語彙 音聲認識 system = Speaker and vocabulary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improved VCCV unit/ 김우성,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135 音聲信號를 利用한 話者의 感情認識에 관한 硏究/ 김서영, 여수대학교 [2002]
136 帶域 Energy-Band를 이용한 音聲區間의 檢出에 관한 硏究 = Endpoint-Detection of Speech Using Energy-Bands. -2001A, v.1/ 최원석, 嶺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2]
137 대용량 단어 인식을 위한 서브워드 단위의 자동 립리딩 = Automatic lipreading based on the sub-word for a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김진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38 한국어 가변어휘 인식기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Korean Vocabulary-Independent Speech Recognizer/ 정용원,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139 한국어 음성의 분석과 자동인식에 관한 연구/ 김순협,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140 중규모급 단어인식기의 실시간 구현을 위한 무감독 단어집단화 알고리듬 = Unsupervised word grouping algorithm for real-time implementation of Medium vocabulary recognition/ 임동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132 음성신호의 잡음제거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lgorithm and Noise Removal of Speech Signals/ 車泰浩, 명지대학교 [1998]
133 음성처리 S/W를 활용한 영어교과의 말하기 평가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English Speaking Ability using Voice Processing S/W/ 金靜三, 淸州大學校 [2001]
134 改善된 VCCV單位 HMM을 利用한 話者獨立 可變語彙 音聲認識 system = Speaker and vocabulary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improved VCCV unit/ 김우성,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135 音聲信號를 利用한 話者의 感情認識에 관한 硏究/ 김서영, 여수대학교 [2002]
136 帶域 Energy-Band를 이용한 音聲區間의 檢出에 관한 硏究 = Endpoint-Detection of Speech Using Energy-Bands. -2001A, v.1/ 최원석, 嶺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2]
137 대용량 단어 인식을 위한 서브워드 단위의 자동 립리딩 = Automatic lipreading based on the sub-word for a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김진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38 한국어 가변어휘 인식기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Korean Vocabulary-Independent Speech Recognizer/ 정용원,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139 한국어 음성의 분석과 자동인식에 관한 연구/ 김순협,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140 중규모급 단어인식기의 실시간 구현을 위한 무감독 단어집단화 알고리듬 = Unsupervised word grouping algorithm for real-time implementation of Medium vocabulary recognition/ 임동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141 고저로 대역에서 마이크폰 어레이를 사용한 음성입력에 관한 연구 = On a Speech Input using the Microphone Array in the high-Low Band/ 이명호, 崇實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142 고주파 대역의 음성 켑스트럼을 이용한 화자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Recognition Using Speech Cepstrum in High-Frequency Band/ 정지호,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143 실시간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연결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nected word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voice dialing system/ 김천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144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모음인식 및 시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고연순, 亞洲大學校 [1990]
145 음성 인식을 위한 국부 봉우리와 골을 이용한 피치 검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itch Detection using Local Peak and Valley for Speech Recognition/ 유영식,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46 DTW와 HMM을 결합한 적응형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ive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DTW and HMM/ 김현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47 神經 回路網 모델에 의한 韓國語 숫자음 認識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poken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 이승만,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148 HMM을 利用한 音聲認識과 外部裝置의 制御 = Speech recognition and outer device control system using HMM/ 심장엽,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149 개선된 MSVQ방법을 이용한 특정 단독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cified and Isolated Word Recognition using Improved Multisetion Vector Quantization Method/ 김남중,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1]
151 조음결합을 고려한 한국어 연속수자음의 인식 = Recognition of Korean connected digits considering coarticulation/ 고시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2]
152 실시간 대용량 음성인식을 위한 Viterbi scoring 보드의 구현/ 오광석, 한국과학기술원 [1995]
153 영어 철자가 영어 청취에 미치는 간섭현상 :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Interference of English Spellings in English Listening : In Third Grade and the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전효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4 HMM을 이용한 다중 생체 인증 시스템 구현 = Multimod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HMM/ 박현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55 신경망을 이용한 단어에서의 모음검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owel Extraction from the Word using the Neural Network/ 이택준, 한밭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4]
156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적응적인 음소분할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ive Phoneme Segmentation Algorithm for th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김대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157 연속 HMM을 이용한 우리말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Continuous HMM/ 김석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3]
158 최적화된 HMM 음소인식기를 사용한 일본어 오류발음 자동 분류기 = Automatic detection of mispronunciation using a speech recognizer for a pronunciation correcting system/ 이상필,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159 발음교정 시스템을 위한 발음 자동 스코어링(Scoring) 기법 연구 = Automatic Pronunciation Scroing for a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 강효원,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160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임선희,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142 고주파 대역의 음성 켑스트럼을 이용한 화자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aker Recognition Using Speech Cepstrum in High-Frequency Band/ 정지호,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143 실시간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연결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nected word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voice dialing system/ 김천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144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모음인식 및 시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고연순, 亞洲大學校 [1990]
145 음성 인식을 위한 국부 봉우리와 골을 이용한 피치 검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itch Detection using Local Peak and Valley for Speech Recognition/ 유영식,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46 DTW와 HMM을 결합한 적응형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ive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DTW and HMM/ 김현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147 神經 回路網 모델에 의한 韓國語 숫자음 認識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Spoken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 이승만,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148 HMM을 利用한 音聲認識과 外部裝置의 制御 = Speech recognition and outer device control system using HMM/ 심장엽,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149 개선된 MSVQ방법을 이용한 특정 단독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cified and Isolated Word Recognition using Improved Multisetion Vector Quantization Method/ 김남중,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1]
151 조음결합을 고려한 한국어 연속수자음의 인식 = Recognition of Korean connected digits considering coarticulation/ 고시영,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2]
152 실시간 대용량 음성인식을 위한 Viterbi scoring 보드의 구현/ 오광석, 한국과학기술원 [1995]
153 영어 철자가 영어 청취에 미치는 간섭현상 :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Interference of English Spellings in English Listening : In Third Grade and the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전효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4 HMM을 이용한 다중 생체 인증 시스템 구현 = Multimod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HMM/ 박현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55 신경망을 이용한 단어에서의 모음검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owel Extraction from the Word using the Neural Network/ 이택준, 한밭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4]
156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적응적인 음소분할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ive Phoneme Segmentation Algorithm for th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김대호,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157 연속 HMM을 이용한 우리말 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Continuous HMM/ 김석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3]
158 최적화된 HMM 음소인식기를 사용한 일본어 오류발음 자동 분류기 = Automatic detection of mispronunciation using a speech recognizer for a pronunciation correcting system/ 이상필,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159 발음교정 시스템을 위한 발음 자동 스코어링(Scoring) 기법 연구 = Automatic Pronunciation Scroing for a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 강효원,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160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임선희,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161 LSP 파라미터를 이용한 발성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asuring the Speaking Rate of Speech Signal by using LSP Parameters/ 장경아,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0]
162 계층형신경망을 이용한 音節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f syllables recognition using Mutilayer Neural Networks/ 이현우,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163 TMS320C32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인식 무선 자동차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Real-Time Speech Recognition Wireless Car Using TMS320C32/ 남병근, 東亞大學敎 産業大學院 [2003]
164 韓國語 單語認識을 爲한 適應化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Adaptation for Korean Word Recognition/ 鄭然根, 경운대학교 [2001]
165 선형예측계수열의 스트레인지 어트렉터를 이용한 화자인식 = The Speaker Recognition by using The Strange Attractor of 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series/ 李憲奎, 서울산업대학교 [1999]
166 음성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사전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icient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Vocabulary Recognition/ 李相馥, 전북대학교 [2003]
167 기능어용 음소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 Models for Function Words/ 명주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168 音韻 變化의 原因과 過程에 對한 通詩的 硏究 = (A) Diachronic Study on the Cause and Process of Phonological Change/ 신승용,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0]
169 동적환경에서 립리딩 성능저하 요인 분석 및 인식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variant factors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 performance for lipreading at dynamic environment/ 민덕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70 음성 신호를 이용한 문장독립 감정 인식 시스템 = (A) text-independent emotion recognition algorithm using speech signal/ 강봉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62 계층형신경망을 이용한 音節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f syllables recognition using Mutilayer Neural Networks/ 이현우,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163 TMS320C32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인식 무선 자동차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Real-Time Speech Recognition Wireless Car Using TMS320C32/ 남병근, 東亞大學敎 産業大學院 [2003]
164 韓國語 單語認識을 爲한 適應化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Adaptation for Korean Word Recognition/ 鄭然根, 경운대학교 [2001]
165 선형예측계수열의 스트레인지 어트렉터를 이용한 화자인식 = The Speaker Recognition by using The Strange Attractor of 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series/ 李憲奎, 서울산업대학교 [1999]
166 음성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사전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icient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Vocabulary Recognition/ 李相馥, 전북대학교 [2003]
167 기능어용 음소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 Models for Function Words/ 명주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168 音韻 變化의 原因과 過程에 對한 通詩的 硏究 = (A) Diachronic Study on the Cause and Process of Phonological Change/ 신승용,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0]
169 동적환경에서 립리딩 성능저하 요인 분석 및 인식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variant factors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 performance for lipreading at dynamic environment/ 민덕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70 음성 신호를 이용한 문장독립 감정 인식 시스템 = (A) text-independent emotion recognition algorithm using speech signal/ 강봉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71 음성 신호의 음소적응분할과 음소특징차별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me Adaptive Dividing Method of Speech Signals and Algorithm of the Distinction of the Phoneme Characteristics/ 장승관,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8]
172 차량 항법용 음성 인식 시스템 구현/ 김지성, 연세대학교 [1998]
172 차량 항법용 음성 인식 시스템 구현/ 김지성, 연세대학교 [1998]
181 離散特續時間 CHMM을 이용한 韓國語 連續音聲 認識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continuous speech using discrete duration CHMM/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182 FAST HADAMARD TRANSFORM을 이용한 우리말 음성인식 =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Fast Hadamard Transform/ 이명희, 崇實大學校 中小企業大學院 [1987]
182 FAST HADAMARD TRANSFORM을 이용한 우리말 음성인식 = Korean Speech Recognition Using Fast Hadamard Transform/ 이명희, 崇實大學校 中小企業大學院 [1987]
185 대화체 음성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DB구축 = Effective Data Collection for Spoken Dialog System/ 남승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186 한국어 음가의 한글 표기 변환을 위한 연구 = Research for the standard Hangul phoneme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이태경,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187 ART2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화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aker Recongnition using the ART2 Neural Network Model/ 이성화,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188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 Relation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word recognition : Comparing reading disabilities to reading-level match and age match children/ 이혜숙,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89 화자인식을 위한 새로운 코드북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Novel Algorithms for Reference Codebook Generation for Speaker Recognition/ 이용우, 亞州大學校 大學院 [2002]
190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우리말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Spoken Digits Using Neural Networks/ 鄭在善, 충남대학교 [1999]
186 한국어 음가의 한글 표기 변환을 위한 연구 = Research for the standard Hangul phoneme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이태경,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187 ART2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화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eaker Recongnition using the ART2 Neural Network Model/ 이성화,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188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 Relation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word recognition : Comparing reading disabilities to reading-level match and age match children/ 이혜숙,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89 화자인식을 위한 새로운 코드북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Novel Algorithms for Reference Codebook Generation for Speaker Recognition/ 이용우, 亞州大學校 大學院 [2002]
190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우리말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Spoken Digits Using Neural Networks/ 鄭在善, 충남대학교 [1999]
191 2次元 ?스트럼 分析法을 使用한 不特定話者用 숫자음 實時間認識機 具現 = An Implementation of a Real Time Speech Recognizer for the Speaker Independent Korean Digits Using the 2-dimensional Cepstrum/ 康旭鎭, 경북대학교 [1991]
192 Implementation of Web-based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 HMM을 이용한 고립어 인식 웹기반 시스템의 구현/ 鄭錫璘, 영남대학교 [2001]
193 인공지능형 전동휠체어의 제어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for Artificial Intelligent Motorized Wheelchair/ 강재명,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3]
194 聽覺生理に基づく適應的音聲强調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 최재승, 大阪市立大學 [1999]
195 Two channel (speech and egg) analysis : with the application to eval!uation of laryngeal function and speaker identification by voice/ 배근성, University of Florida [1989]
196 이미지 모핑을 통한 중간 프레임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ating intermediate frames using Image Morping/ 김태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97 HMM을 이용한 韓國語 숫자음 認識 = (A)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HMM/ 이규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2]
198 신호대 잡음비의 정규화를 이용한 잡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 Modified SNR-normalization technique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정회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199 단층 인식자를 이용한 배경 잡음 제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ackground Noise Cancellation Using Single-Layer Perceptron/ 전선도,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200 수정된 통합 블럭윈도우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소단위 연결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me Based Connected World Recognition Using Glue Modifield Block Windowed Neural Network/ 이형준,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192 Implementation of Web-based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 HMM을 이용한 고립어 인식 웹기반 시스템의 구현/ 鄭錫璘, 영남대학교 [2001]
193 인공지능형 전동휠체어의 제어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for Artificial Intelligent Motorized Wheelchair/ 강재명,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3]
194 聽覺生理に基づく適應的音聲强調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 최재승, 大阪市立大學 [1999]
195 Two channel (speech and egg) analysis : with the application to eval!uation of laryngeal function and speaker identification by voice/ 배근성, University of Florida [1989]
196 이미지 모핑을 통한 중간 프레임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ating intermediate frames using Image Morping/ 김태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97 HMM을 이용한 韓國語 숫자음 認識 = (A) Korean Digit Recognition Using HMM/ 이규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2]
198 신호대 잡음비의 정규화를 이용한 잡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 Modified SNR-normalization technique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정회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199 단층 인식자를 이용한 배경 잡음 제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ackground Noise Cancellation Using Single-Layer Perceptron/ 전선도,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200 수정된 통합 블럭윈도우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음소단위 연결어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me Based Connected World Recognition Using Glue Modifield Block Windowed Neural Network/ 이형준,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276 Speech Enhancement based on the EM algorithm : EM이론에 기초한 잡음 음성 향상/ 원윤정,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
277 예측형 RBFN을 이용한 한국어 단독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Isolated Digits using Predictiv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김현우,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0]
278 단어간 트라이폰 기반의 바이그램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 =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crossword triphone-based bigram information/ 김종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79 Speaker Adaptation using Feature Transformation based on ICA = ICA 기반 특징벡터 변환을 이용한 화자적응/ 박만수,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v [2002]
280 휴대 전화기 상에서 Name Dialing을 위한 화자독립 실시간 음성인식 = Speaker-Independent Real-Time Speech Recognition for Korean Name Dialing on Mobile Phone/ 安柱元, 명지대학교 [2001]
277 예측형 RBFN을 이용한 한국어 단독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Isolated Digits using Predictiv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김현우,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2000]
278 단어간 트라이폰 기반의 바이그램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연결 숫자음 인식 =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crossword triphone-based bigram information/ 김종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79 Speaker Adaptation using Feature Transformation based on ICA = ICA 기반 특징벡터 변환을 이용한 화자적응/ 박만수,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v [2002]
280 휴대 전화기 상에서 Name Dialing을 위한 화자독립 실시간 음성인식 = Speaker-Independent Real-Time Speech Recognition for Korean Name Dialing on Mobile Phone/ 安柱元, 명지대학교 [2001]
<자료출처> 다음카페
2011년 11월 18일 금요일
2011년 8월 3일 수요일
케플러의 법칙 유도
- 이 증명을 논산 29연대에서 욜나게 구르고 계실 Xnei님에게 바칩니다. -
일단 케플러 법칙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 하겠습니다.
케플러의 1법칙, 타원의 법칙 (1609년) : 행성궤도는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이다.
케플러의 2법칙, 등면적 법칙 (1609년) :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은 행성이 태양주위에서 궤도운동을 할때 같은 시간동안 같은 면적을 지나간다.
케플러의 3법칙, 조화의 법칙 (1618년) ' 행성주기 ' 의 제곱은 ' 행성궤도의 반장축' 의 세제곱 에 비례한다.
케플러의 2법칙, 등면적 법칙 (1609년) :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은 행성이 태양주위에서 궤도운동을 할때 같은 시간동안 같은 면적을 지나간다.
케플러의 3법칙, 조화의 법칙 (1618년) ' 행성주기 ' 의 제곱은 ' 행성궤도의 반장축' 의 세제곱 에 비례한다.
※ 반장축 : 타원의 제일 긴 지름의 절반. 장반경이라고도 한다.
케플러1법칙을 증명하는건 뉴턴시대 당시엔 무지하게 어려 웠습니다.(그당시엔 미적분이 없었음)
1684년 여름에 헬리가 뉴턴에게 역제곱 힘을 받는 행성의 궤도는 어떻게 될지 물었을때 뉴턴이 그 즉시 '타원' 이라고 말해서 헬리를 놀라게 했었죠^^
그당시 여러사람들이 타원궤도를 도는 행성은 역제곱 힘을 받을거라고 추측하였으나 수학적으로 증명 하지 못했죠.
뉴턴은 이미 그당시에 미적분을 알고 있었고, 헬리가 왜 타원궤도가 되냐고 물으니깐,
" 내가 옛날에 이미 계산을 해보았네^ㅠ^ "
라고 무조건반사(?)로 대답할정도니 그 당시 사람들에겐 괴물로 보였을듯...-.=
물론 현대의 우리가 보기에도 미적분을 안쓰고 오직 유클리드 기하학 만으로 증명한게 더 괴물로 보이는...-_-a
(전 프린시피아 사놓고 약간 보다가 때려친..ㅠㅠ)
(전 프린시피아 사놓고 약간 보다가 때려친..ㅠㅠ)
케플러 법칙들은 모두
1. 뉴턴의2법칙 : F = ma
2. 뉴턴의중력법칙 : F= GMm/r²
2. 뉴턴의중력법칙 : F= GMm/r²
두가지 법칙으로 부터 수학적으로 증명이 됩니다. (증명에서 쓰이는 수학은 벡터해석(벡터미적분)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케플러 법칙은 사실 법칙이 아니라 케플러 정리라고 불러야 옳습니다.(기본법칙으로 부터 유도가 되므로...)
하지만 뉴턴의 프린시피아보다 케플러가 먼저 발표해서 케플러정리가 법칙으로 불려지게 되었죠ㅎ
(케플러 법칙이란 용어는 수백년간 관용적으로 굳어져서 앞으로도 안바뀔듯;;)
하지만 뉴턴의 프린시피아보다 케플러가 먼저 발표해서 케플러정리가 법칙으로 불려지게 되었죠ㅎ
(케플러 법칙이란 용어는 수백년간 관용적으로 굳어져서 앞으로도 안바뀔듯;;)
먼저 케플러 2법칙. 등면적의 법칙을 증명해 보겠습니다.(케플러 법칙을 증명하는 순서는 2->1->3 순서로 합니다.)
케플러 2법칙은 중력이 중심력(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두 입자의 선을 잇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이기 때문에 나오는 결과 입니다.(굳이 역제곱 법칙이 아니여도... 예를들어 역세제곱 법칙이였어도 성립합니다.)
현대의 물리용어로 말하면
"태양에 대한 행성의 각운동량은 보존된다."
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증명을 이해할려면 대학교 1학년때 배우는 미분적분학 책에 나오는 벡터해석파트를 공부해야하는데...(또는 수리물리의 벡터해석 파트)... 그냥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증명하겠습니다...-_-aa 이거 설명할려면 케플러 법칙증명이 아닌 벡터해석 공부가 되므로...ㄱ-..
깔끔하게 증명되었습니다.
여기서 각운동량의 방향도 항상 일정하므로, 행성은 항상 평면운동을 한다는것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각운동량의 방향도 항상 일정하므로, 행성은 항상 평면운동을 한다는것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케플러 1법칙. 타원의 법칙을 증명하겠습니다.
보통 물리과에서 배우는 책에는 궤도운동방정식을 먼저 유도하여 증명하는데 저는 오로지 벡터해석을 이용하여 바로 증명해 보이겠습니다. (유도에는 james stewart 미적분책을 약간 참고 하였습니다.)
마지막 2 식은 원뿔곡선의 극좌표 표현입니다.
고등학생이라면 이게 무슨 타원궤도의 증명이야? 라고 말할수 있겠으나...-_-..
저런식으로 표현되는 곡선은 반드시 원,타원,포물선,쌍곡선 중 하나여야 합니다.
그런데 포물선,쌍곡선을 그린다면 이미 행성이 아니므로...(물론 그런 천체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타원은 원을 포함)
고등학생이라면 이게 무슨 타원궤도의 증명이야? 라고 말할수 있겠으나...-_-..
저런식으로 표현되는 곡선은 반드시 원,타원,포물선,쌍곡선 중 하나여야 합니다.
그런데 포물선,쌍곡선을 그린다면 이미 행성이 아니므로...(물론 그런 천체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타원은 원을 포함)
마지막으로 케플러3법칙인 조화의 법칙을 증명해 보이겠습니다.
보통 대학1학년 가서 일반물리학 시험을 보면 원궤도일때 케플러3법칙을 유도하라는 문제가 간혹 나옵니다.
보통 대학1학년 가서 일반물리학 시험을 보면 원궤도일때 케플러3법칙을 유도하라는 문제가 간혹 나옵니다.
2~3 줄이면 증명이 되니 잠시 써보겠습니다.
-------------- (원궤도 에서의) 케플러 3법칙의 증명 ---------------
중력 = 구심력 에서,
F = GMm/r² = mv²/r
∴ v = √(GM/r)
중력 = 구심력 에서,
F = GMm/r² = mv²/r
∴ v = √(GM/r)
이식을 T = 2ㅠr / v 에 대입하면, T² = (4ㅠ²/GM) r ³ 인 케플러 3법칙이 증명됩니다.
----------------------------------------------------------------
----------------------------------------------------------------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일반적인 타원의 경우에 증명해 보겠습니다.
증명은 케플러 2법칙으로 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타원의 성질을 이용하였습니다.
전 이심률이고 뭐고 그런 용어 안썼습니다.....-_-
참고로 여기서 a가 반장축 입니다.
그럼 이만 Xnei님의 전역을 미리(?) 축하드리며 케플러 법칙의 증명을 마치겠습니다.
자료출처 : E.P.M. : Elegant Physics Mate
2011년 7월 30일 토요일
2011년 7월 18일 월요일
GNUPLOT 사용법
무료 그래프 그리는 프로그램입니다.
다운로드
매뉴얼
1. http://coffeenix.net/doc/gnuplot/gnuplot.html
2. http://wiki.kldp.org/KoreanDoc/html/GnuPlot-KLDP/
3. http://www.duke.edu/~hpgavin/gnuplot.html
GNUPlot 홈페이지 : http://www.gnuplot.info/help.html
다운로드
매뉴얼
1. http://coffeenix.net/doc/gnuplot/gnuplot.html
2. http://wiki.kldp.org/KoreanDoc/html/GnuPlot-KLDP/
3. http://www.duke.edu/~hpgavin/gnuplot.html
GNUPlot 홈페이지 : http://www.gnuplot.info/help.html
2011년 6월 27일 월요일
2011년 5월 2일 월요일
Edison
예전에 브레드보드 교육용으로 사용했던 소프트웨어인데...
이녀석을 찾느라 몇시간씩 구글링을 했다.
암튼 직관적인 소프트웨어여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정말 좋은 것 같다.
잊어먹지 말아야지... Edison
2011년 5월 1일 일요일
무료 교육용 프로그램
http://www.nonags.com/freeware-fet_3744.html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는데, 지도교육용 프로그램부터 물리 프로그램까지 있네요
개인적으로는 전자기 프로그램 정말 마음에 듭니다.
LogicSim이라는 프로그램은 링크가 깨져서 찾을 수 없어 아쉽네요.
다음에 들어가 봐야겠습니다.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는데, 지도교육용 프로그램부터 물리 프로그램까지 있네요
개인적으로는 전자기 프로그램 정말 마음에 듭니다.
LogicSim이라는 프로그램은 링크가 깨져서 찾을 수 없어 아쉽네요.
다음에 들어가 봐야겠습니다.
2011년 3월 1일 화요일
물리 교육 사이트
http://cont111.edunet4u.net/dipole72/home/10/10-1.htm
전국과학교사협회
http://club.paran.com/club/home.do?clubid=pedagogy-bbsView.do?menuno=2555-clubno=67-bbs_no=0K1QW
전남대 물리학과
물리의 이해
물리나루 홈페이지
눈이 즐거운 물리
사이언스 올
차교수와 물리산책
김진호의 과학이야기
Physics 113 Homepage
까마구의 과학교실
Media Portfolio
Mystory, My heart
단위환산 홈페이지
Center of Nanotechnology
nuke Education
General Chemistry
X-File 속 과학이야기
유레카
전국과학교사협회
http://club.paran.com/club/home.do?clubid=pedagogy-bbsView.do?menuno=2555-clubno=67-bbs_no=0K1QW
전남대 물리학과
물리의 이해
물리나루 홈페이지
눈이 즐거운 물리
사이언스 올
차교수와 물리산책
김진호의 과학이야기
Physics 113 Homepage
까마구의 과학교실
Media Portfolio
Mystory, My heart
단위환산 홈페이지
Center of Nanotechnology
nuke Education
General Chemistry
X-File 속 과학이야기
유레카
2011년 1월 21일 금요일
2010년 11월 21일 일요일
피드 구독하기:
글 (Atom)